🏡 똘똘한 내 집 장만

경매 낙찰 전에 자금 계획부터! 돈 때문에 낭패 보지 않으려면❗

킴바스타 2025. 4. 6. 22:28
반응형
부동산 경매를 통해 좋은 물건을 찾고, 경쟁을 뚫고 낙찰까지 받았는데 정작 자금 계획이 안 되어 있다면? 상상만 해도 아찔하다.
경매는 단순히 '싸게 사는 방법'이 아니라, 자금 운용의 싸움이기도 하다. 특히 낙찰 후 잔금 마련을 못 하면 계약 해제와 패널티가 따를 수 있어 철저한 자금 계획이 선행돼야 한다.
이번 글에서는 경매를 처음 시작하는 투자자들이 꼭 알아야 할 자금 계획 세우는 법에 대해 다뤄보려 한다.

 

 

💰 1. 총 필요한 자금은 얼마나 될까?

경매는 단순히 '낙찰가 = 준비금'이 아니다.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비용이 들어간다:

✔️ 입찰보증금 : 보통 감정가의 10% (입찰 당일 필요)

✔️ 잔금 : 낙찰가 - 입찰보증금

✔️ 취득세, 교육세, 농특세 등 세금

✔️ 법무사 비용, 등기비용, 송달료 등 부대비용

✔️ 명도 비용 (필요한 경우)

 

 📌 예시: 감정가 2억인 아파트를 1억7천에 낙찰받았다면?

  ◻️ 입찰보증금: 2,000만 원
  ◻️잔금: 1억5천만 원
  ◻️취득세: 약 1,200만 원
  ◻️명도 및 기타비용: 약 300만 원

 

   👉 총자금: 약 1억8천만 원 이상


🏦 2. 대출은 가능한가? 경락잔금대출 이해하기

경매 물건에도 대출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경락잔금대출을 이용할 수 있다.

  ◻️ 최대 80%까지 가능 (주택 기준, 보통은 70%)
  ◻️ 금융기관에 따라 심사 기준 다름
  ◻️조건: 직장 유무, 소득, 신용점수 등

❗ 주의: 감정가 기준이 아니라 낙찰가 기준으로 대출이 나온다.또한 일부 금융기관은 경매 물건에 대해 보수적 평가를 적용해 LTV가 낮아질 수 있다.

 

 

📊 3. 경매 진행 중 꼭 계산해봐야 할 것들

 ✅ 내가 투입할 수 있는 자기자본은 얼마인가?

 ✅ 대출 가능 한도는 어느 정도인가?

 ✅ 낙찰가 예상 범위는 어디까지 허용 가능한가?

 ✅ 부대비용 포함 자금 계획이 무리 없는가?

  ⚠️ 무리하게 낙찰가를 올려 입찰했다가, 대출이 안 나오면 낭패! 항상 '현실적인 금액'을 기준으로 입찰 상한선을 정해야 한다.

 

 

⏳ 4. 낙찰 이후 자금 준비 타이밍

대부분의 경우, 낙찰일로부터 약 30일 이내에 잔금 납부를 해야 한다.

◻️ 이 기간 내에 대출 실행 및 잔금 마련 완료해야 함
◻️ 기한 내 미납 시 낙찰 무효화 가능 (법원은 매우 엄격함)

  👉 따라서, 낙찰 전에 금융기관 상담 & 서류 준비는 필수다.

 

 

📋 5. 실전 꿀팁: 자금계획표 작성해보기

직접 엑셀이나 노트에 자금 계획표를 만들어보자:

항목 금액 비고
감정가 200,000,000원  
예상 낙찰가 170,000,000원  
입찰보증금 20,000,000원  
잔금 150,000,000 대출 가능 금액 확인
취득세 약 12,000,000원  
명도 및 기타비용 약 3,000,000원  
총 필요 자금 185,000,000  

 

이런 표를 작성해두면, 입찰 전에 자금 가능 여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 마무리하며

경매는 눈치 싸움이기도 하지만, 자금 운용의 싸움이다.감정가 대비 싸게 받았다고 좋아할 게 아니라, 잔금을 못 내면 아무 소용 없다.
철저한 자금 계획이 경매 성공의 시작이다.무리 없는 입찰, 충분한 자기자본 확보, 보수적인 계획이 바로 안전한 투자의 기본이다.

👉 다음 글에서는 **'낙찰 후 등기이전과 명도 절차'**에 대해 이어가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