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똘똘한 내 집 장만

나도 할 수 있다 내 집 장만 🏡- 부동산 경매 용어 & 절차

킴바스타 2025. 3. 4. 18:39
반응형
부동산 경매에 관심이 생겼지만, 막상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분들 많을 것이다. 나도 처음에는 용어도 어렵고 절차도 복잡해 보여서 겁부터 났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경매의 기본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하나씩 준비하다 보면,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매력적인 투자 방법이라는 걸 알게 될거다. (。・‧̫・。)o🪄

이번 글에서는 부동산 경매의 진행 절차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하고,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필수 용어들도 쉽게 설명할것. 경매를 시작하기 전, 이 글을 통해 기초를 탄탄하게 다져보길! 💪

 

1. 초보자를 위한 경매 용어 정리

📍경매를 하다 보면 어려운 용어들이 많아 헷갈릴 수 있다.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용어를 쉽게 정리해 보겠다!

감정가: 법원이 감정평가를 통해 산정한 부동산의 가격

최저 입찰가: 유찰이 되면서 점점 낮아지는 가격으로, 입찰 가능한 최저 금액

유찰: 경매에 응찰자가 없거나, 최고가 매수신고인이 잔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경매가 다시 진행되는 것

명도: 낙찰자가 부동산을 실제로 점유하고 있는 사람(세입자, 채무자 등)으로부터 인도받는 절차

권리 분석: 경매 부동산의 등기부등본과 임대차 관계를 분석하여 추가 부담금을 파악하는 과정

 

근저당권: 채권자가 대출을 담보로 해당 부동산에 설정한 권리로, 경매 시 우선적으로 변제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짐

 


 

2. 부동산 경매 진행 절차 총정리

📍부동산 경매, 복잡해 보이지만 기본적인 흐름을 이해하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경매는 물건 검색 → 입찰 준비 → 입찰 및 낙찰 → 잔금 납부 및 소유권 이전 이렇게 4단계로 진행된다.

 

① 경매 물건 검색
🔉경매를 시작하려면 먼저 법원 경매 사이트에서 원하는 물건을 검색해야 함. 주요 경매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② 입찰 준비
🔉입찰할 물건을 정했다면, 권리 분석을 철저히 해야 한다. 다음과 같은 사항을 꼭 확인하길.

 

1) 등기부등본 확인 방법

  • 발급 방법 : 인터넷등기소(https://www.iros.go.kr)에서 부동산 주소를 입력하면 열람 가능
  • 확인 포인트 : 근저당권, 압류, 가처분, 가등기 등 부담이 있는 권리가 있는지 확인

2) 임대차 계약 확인 방법

  • 전입세대 열람 : 해당 부동산에 전입된 세대가 있는지 주민센터에서 확인 가능
  • 확정일자 여부 : 임차인의 확정일자가 있다면, 배당 순위가 어떻게 되는지 확인

3) 점유 상태 확인 방법

  • 현장 방문 필수! 실제로 방문해 현재 거주자가 누구인지 확인
  • 점유자의 성격: 세입자인지, 전 주인인지 파악 후 명도 소요 예상 여부 분석

    🔉추가 비용(명도비, 체납세금 등)이 발생할 가능성도 꼭 고려해야 한다.

 

③ 입찰 및 낙찰

📍입찰 당일에는 **법원에 직접 방문하거나 온라인 입찰(전자입찰 가능)**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최고가를 제시한 사람이 낙찰을 받으며, 낙찰 후 일정 기간 내에 잔금을 납부해야 한다.

 

④ 잔금 납부 및 소유권 이전

📍낙찰자가 정해진 기간 내에 잔금을 모두 납부하면 법원에서 소유권 이전을 허가해준다. 이후, 등기이전을 마치고 명도를 완료하면 경매 절차가 끝난다!

 


🎉 마무리

📍부동산 경매, 한 번 경험해 보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는 걸 알게 될 거다. 처음 시작할 때는 철저한 준비와 공부가 필수지만, 꾸준히 경험을 쌓으면 수익을 낼 수 있는 좋은 투자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번 글이 부동산 경매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다음에는 보다 구체적인 경매 물건 분석 방법을 다뤄보겠다 ᵔᴥᵔ

반응형